최근 일본 정치권에서는 자동차 운전자들과 서민들의 생활과 직결된 휘발유 세금(구 잠정세율) 폐지 여부가 다시 한번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자민당의 모리야마 다이치(森山裕) 간사장은 2024년 7월, 기자회견을 통해 2024년도(올해) 안에 구 잠정세율을 폐지하겠다고 약속하며 관련 논란에 불을 붙였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구 잠정세율’의 배경과 실태, 폐지가 논의되는 이유, 정치적 이해관계, 그리고 일본 사회 및 경제에 미칠 영향까지 심층 분석하고, 한국과의 비교를 통해 동북아 에너지 조세정책의 흐름도 살펴본다.
1. 구 잠정세율(旧暫定税率)이란 무엇인가?
구 잠정세율은 1974년 오일쇼크 이후 일본 정부가 재정확보 및 도로 정비를 위해 도입한 한시적 휘발유세 인상 조치다. 당시 휘발유세를 일시적으로 인상해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 도로망 확충 등에 활용한다는 명분으로 도입됐지만, 그 한시 조치가 수십 년간 사실상 고정 세율로 유지되어 왔다.
2. 왜 폐지 논의가 재점화됐는가?
2024년 들어 일본 내에서 물가 상승과 서민 부담이 심화되면서 휘발유 가격이 다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치권은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폐지를 검토하고 있다:
① 유가 상승으로 인한 국민 부담 증대
②고물가 상황에서 실질 임금 감소
③중산층 및 지방 주민의 불만 증가
④총선을 앞두고 민심 확보 목적
특히 지방의 경우 자동차가 주요 교통수단이기 때문에, 휘발유세는 생계비와 직결되는 생활세금이라 불릴 정도로 민감한 사안이다.
3. 자민당 모리야마 간사장의 발언 의미
모리야마 간사장은 기자회견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구 잠정세율은 본래 한시적 조치였으며, 올해 안에는 국민과의 약속대로 이를 종료할 수 있도록 조정하겠다.”
이는 자민당이 다음 총선을 의식한 정치적 선제 조치이자, 반정부 정서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재무성 등 정부부처와의 예산 조정, 지방세 수입 감소 보전 문제, 도로 예산 문제 등 현실적인 벽도 많다.
4. 폐지 시 예상 효과 및 쟁점
▶ 긍정적 효과
휘발유 가격 25엔/L 이상 인하 가능성
서민과 중소기업의 물류비 부담 감소
지방 경제에 긍정적 영향
정치권의 신뢰 회복
▶ 부정적 쟁점
연간 약 1.5조 엔 이상 세수 손실 예상
도로 예산 축소 → 유지보수 차질 우려
기후변화 정책과 배치 가능성 (탄소세 도입 vs 유류세 인하)
5. 한국과의 비교: 유류세 정책
한국은 유류세가 교통세, 교육세, 부가세 등으로 복합 구성되어 있으며, 유가 상승 시 탄력세율 조정제도를 통해 세율을 한시적으로 인하하거나 조정하는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2022년에는 유가 급등으로 인해 유류세 37% 인하 조치 시행
2023년~2024년에도 부분적 인하 연장 중
휘발유 세금 구조가 투명하며, 조정 주체가 정부국회 중심
일본처럼 50년 가까이 유지된 ‘한시 세율’이 존재하지 않다는 점에서 정책 유연성과 신뢰성 면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6. 향후 전망 및 시사점
2024년 중 폐지 가능성이 점쳐지나, 다음과 같은 변수들이 존재한다:
재무성과의 협상 여부
도로 예산 확보 대책
탄소중립 정책과의 연계
총선 일정 및 여론
자민당이 이를 공약으로 실현할 경우 국민 체감 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책적 승부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단기 인기 영합이 아닌 장기적 조세체계 개편과의 정합성이 중요하다.
한국 입장에서도 일본의 유류세 개편 움직임은 에너지 조세 구조 설계, 탄소세와의 병행 전략 수립에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
> “정치적 약속이 진정한 개혁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휘발유 가격은 단순한 연료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는 곧 생활비, 지역균형, 세금 신뢰, 기후정책과 맞닿아 있다. 일본 정치가 국민과의 약속을 지켜낼 수 있을지, 그리고 그 여파가 한국 사회에 어떤 함의를 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본에서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멘집 폐업, 다시 고개든 ‘코로나 후유증’…2025년 상반기 일본 외식업계가 맞은 두 번째 충격 (0) | 2025.07.07 |
---|---|
졸업앨범 악용, SNS상에서 성(性)적피해…일본 사회를 뒤흔든 252명 피해 사건의 실체 (0) | 2025.07.07 |
도쿄에서 연 1,500만 엔 소득은 평범한가? 자녀 양육과 생활비의 현실 분석 (0) | 2025.07.06 |
산유국, 8월에도 하루 55만 배럴 대규모 증산 합의…에너지 시장의 향방은? (0) | 2025.07.06 |
'제로제로융자' 도산 2,000건 돌파…日 중소기업, 회복 못 하고 무너진 이유는? (0) | 2025.07.06 |